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임상 & 교육66

ROX index) HFNC(Airvo)를 하고 있는 환자, Intubation을 할지 말지 결정하는 기준 임상에서, 환자가 hypoxemia나 hypercapnea가 있으면 nasal O2나 mask같은 저유량 산소공급장치를 이용해 산소를 공급하다가 HFNC(고유량산소비강캐뉼라)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HFNC를 적용하고 난 뒤에도 임상경과에 호전이 없으면 결국 intubation을 하고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게 되는데요. 우리는 HFNC에서 언제 Intubation으로 넘어가야 하는지 무엇을 보고 결정하면 될까요? 오늘은 이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HFNC의 fail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ROX index라고 합니다. An Index Combining Respiratory Rate and Oxygenation to Predict Outcome of Nasal H.. 2022. 9. 22.
Self test) 신규 간호사에게 부서에 있는 비품약 공부시키는 법 본원 중환자실에서는 신규 간호사가 1:1 트레이닝을 시작하기 전에 교육 전담 간호사와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기본 교육을 받은 뒤 트레이닝으로 보내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신규 간호사에게 제공중인 교육에는 비품약도 포함됩니다. 부서별로 정말 다양한 비품약이 있을텐데요. 오늘은 어떻게 비품약을 신규 간호사에게 교육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 공유드릴까합니다. 우선 비품약은 워낙 종류와 갯수가 많기 때문에 하나 하나 다 강의하듯이 알려주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효율도 떨어집니다. 비품약은 스스로 공부시키는 것이 더 효율과 내용 습득에 좋습니다. 우선 신규 간호사를 부서의 처치 준비실에 있는 비품약 장으로 데려가서 사진을 찍게 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형식의 종이를 프린트하여 나눠줍니다. 약장이 몇칸 몇줄로.. 2022. 9. 21.
Self test) 신규 간호사 교육 중 - ACLS에 대해 공부했다면 퀴즈를 풀어보자 신규 간호사들을 교육할 때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은 교육 후에 스스로 공부(복습)해보라고 하고 후에 퀴즈를 풀어보게 하는 것입니다. 신규 간호사 본인이 제대로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매우 확실한 교육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시험이라는 개념으로 다가가면 거부감이 생기고 부담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에 실제 교육 중에는 self test라고 명명하고 문제지와 해답지를 나눠준 뒤 스스로 채점하고 답을 읽어보게 하고 있습니다. 다른 병원의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아래에 제가 만든 문제와 답지를 공유합니다.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퀴즈이니만큼 심화보다는 기본을 다루고 반복 학습이 되게 문제를 구성하였습니다. [ACLS Self test 문제] - AHA 202.. 2022. 9. 21.
CPR Ventilator setting 작년에 ACLS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왜 우리 병원에서는 CPR 상황 시 인공 호흡은 ambu bagging으로만 하는 것인지 의문이 생긴 적이 있습니다. 6~7초에 한번, ambu의 1/3 정도(약 500ml) bagging하는 것도 인공호흡기의 mode를 volume control mode로 설정하고 setting을 f(frequency, 호흡수 세팅) 10회/min, TV(tidal volume) 4~500ml 정도로 맞춰 놓으면 vent에서는 모니터링까지 되기 때문에 사람이 하는 것보다 정확도 측면에서도, 인력 확보 면에서도 장점이 있지 않나 싶었기 때문입니다. 의문만 가지고 있는채로 답을 얻지는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ICU 전담 교수님께 질문을 드리고나서 이와 관련된 저널 하나를 소개해주셔서.. 2022. 7. 13.
ICU 신규 간호사 트레이닝 필수 교육 리스트 대학병원 중환자실의 신규 간호사 트레이닝 기간은 짧으면 6주, 길면 8주 정도입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이 기간 속에서 프리셉터는 신규 간호사를 1인분의 몫을 하는 간호사로 만들기 위해서 고군분투하게 됩니다. 시간은 흐르고 독립이 다가올수록 프리셉터는 내가 다 가르친 게 맞나, 프리셉티는 내가 다 배운게 맞나. 필수 교육 목록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없다면 계속해서 이를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어떤 업무를 할 줄 알아야할까? 간호 학생이나 웨이팅 중인 예비 ICU 간호사들은 이에 대해 미리 알기가 쉽지 않죠. 이번 포스팅에는 ICU 신규 간호사를 트레이닝 할 때 필수로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해 리스트업 해볼 예정입니다. 트레이닝을 처음 해보는 프리셉터라면 이 리스트를 참고하여 교육을.. 2022. 7. 4.
응급 상황 시 업무 분담, 리듬 판단 후 처치 신규 간호사 선생님이 일을 하며 가장 당황스러울 때가 바로 CPR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CPR 환자가 내 환자라면 담당간호사로서 어떻게 행동해야할까요? 다른 선생님의 환자라면 난 주변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할까요? 그리고 내가 만약 듀티 차지라면 CPR 상황에서 간호사들의 업무 분담을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cardiac arrest에서는 리듬 판단 후 처치도 중요한데요.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과 아닌 리듬이 있죠, 이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CPR시에 필요한 모든 처치를 나열해보겠습니다. 심정지 상황 발생 시 하위 목록들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합니다.(순서대로 진행 XXX) ① 심정지 발견시 도움 요청 -> 가슴압박 시작 : 100~120회/min, 약 5cm 깊이 ② ambu bagg.. 2022. 6. 21.
제 3편) PB 980 vent PSV 모드, 설정 & 모니터링 값 분석, EMR에 기록하기 for 신규 간호사 마지막인 제 3편에서는 Spont mode중 하나인 PSV 모드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3. SPONT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자발유형 자발 유형: PS(pressure support), TC(튜브 보상), VS(volume support), PAV+(proportional assist ventilation) 본원에서 자주 다루는 SPONT 모드 중 PSV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① PSUPP = pressure support(압력보조) : self 호흡 때 압력을 보조해 환자의 호흡을 도와줌 ② VSENS = trigger : pressure와 flow 중에 선택 가능(pressure trigger는 PSENS, flow trigger는 VSENS) ③ O2 = FiO2 ④ PEEP = 호기말 .. 2022. 6. 19.
제 2편) PB 980 vent SIMV 모드, 설정 & 모니터링 값 분석, EMR에 기록하기 for 신규 간호사 저번 1편에 이어 이번에는 PB 980 vent의 SIMV 모드를 EMR에 어떻게 기록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SIMV에서 선택 가능한 강제 유형과 자발유형 강제 유형: SIMV-PCV, SIMV-VCV, SIMV-VC+(PRVC) 자발 유형: PS(pressure support, 압력 보조), TC(tube compensation, 튜브 보상) *강제 유형과 자발 유형에서 1개씩 선택한다. 본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SIMV 모드인 SIMV-PCV-PS와 SIMV-VCV-PS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SIMV-PCV-PS 선택시 ① f(frequency) = 강제 호흡 횟수 ② PI = Inspiratory pressure: 흡기 압력 ③ TI = Inspiration time: 흡기 시간(.. 2022. 6.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