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CLS7 Self test) 신규 간호사 교육 중 - ACLS에 대해 공부했다면 퀴즈를 풀어보자 신규 간호사들을 교육할 때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은 교육 후에 스스로 공부(복습)해보라고 하고 후에 퀴즈를 풀어보게 하는 것입니다. 신규 간호사 본인이 제대로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매우 확실한 교육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시험이라는 개념으로 다가가면 거부감이 생기고 부담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에 실제 교육 중에는 self test라고 명명하고 문제지와 해답지를 나눠준 뒤 스스로 채점하고 답을 읽어보게 하고 있습니다. 다른 병원의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아래에 제가 만든 문제와 답지를 공유합니다.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퀴즈이니만큼 심화보다는 기본을 다루고 반복 학습이 되게 문제를 구성하였습니다. [ACLS Self test 문제] - AHA 202.. 2022. 9. 21. ACLS) <5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오늘은 CPR 후 ROSC 되었을 때 그 이후 통합치료와 Arrest 상황 시 내가 담당 간호사라면 또는 주변 간호사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① ROSC 이후의 통합치료 ROSC가 되었다면 그 이후엔 초기 안정화단계이다. 우선 V/S이 안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엔 12 lead EKG를 찍고 ST elevation 등의 MI를 시사하는 징후가 있다면 인터벤션센터로 PCI를 하러 갈 수도 있을 것이다. cardiogenic shock이 너무 심하다면 ECMO도 시행된다. CPR 도중에 ECMO가 insertion 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mental이 회복되느냐 안되느냐이다. 명령에 따르느냐 아니냐는 결국 obey의 여부를 물어보는 것인데 obey가 되지 않을 경우 .. 2021. 12. 17. ACLS) <4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이제부터는 ACLS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가슴압박, 인공호흡, 심장리듬분석 + 제세동, 약물 투약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한다. ① 가슴압박(compression) Chest compression can help restore blood flow to the brain, heart and other vital organs :가슴 공간의 압력변화로 cardiac output이 발생한다. 뇌, 심장, 주요 장기로 혈류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가이드라인에서 말한 대로 정확히 가슴압박을 하더라도 정상 cardiac output과 비교했을 때 1/4 ~1/3 밖에 되지 못한다고 한다. 산소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혈류가 감소되면 산소공급도 원활하지 않다. 그러면 호기성 대사가 충분히 일.. 2021. 12. 17. ACLS) <3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오늘은 ACLS 알고리즘 중에서 non-shockable rhythm에 대해서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① non- shockable rhythm의 경우 non-shockable rhytmn의 경우에는 Asystole과 PEA가 있다. 지난 글에서 공부했던 shockable 리듬은 심장의 전도 장애로 인한 심실성 부정맥으로 제세동(전기충격)으로 치료 가 가능했다. 그러니 빠르고 정확한 제세동이 필수였다. 하지만 non-shockable 리듬은 심장 전도 장애로 인한 부정맥이 아니다. 그러니 제세동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심정지 리듬은 가역적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다(6H & 5T) 가역적이라는 것은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면 다시 돌아온다는 뜻이다. , 원인과 해결법 •Hypovolemia – 수액 보충.. 2021. 12. 17. ACLS) <2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이번 시간에는 ACLS 알고리즘을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이 그림이 지난 시간에 함께 훑어 본 AHA 2020 ACLS 성인용 알고리즘이다. shockable 리듬이냐 vs non-shockable 리듬이냐에 따라 갈래가 나뉘며 해야할 일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제 한 단계씩 나눠서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특히,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① Start CPR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지체없이 CPR을 시작해야 한다.(심정지의 판단법은 다음 시간에 포스팅 예정이다.) 중환자실에서 CPR을 시작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간호사는 어떤 일들을 해야하나? 우선 Arrest가 맞다고 판단했다는 가정하에 얘기해보자면 CPR을 시작하며 도움 요청을 해야 할 것이다. 우선 큰 목.. 2021. 12. 17. ACLS) <1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는 몇 년마다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왜 몇 년마다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업데이트하는 걸까? 결국엔 evidece based, 즉 모든 것은 근거기반의 recommendation을 위한 것이다. 근거에 대한 level을 평가하기 위해 권고등급과 근거 수준이라는 개념이 있다. * 권고등급: 권고등급이 올라갈수록 환자에게 위해보다 이점이 더 커진다. (ex, 권고등급 1등급: 이점>>>위해) * 근거수준 ex) - 근거 수준 A: 1건이 넘는 RCT에 근거한 고품질의 증거,고품질의 RCT에 대한 메타분석, 고품질의 등록 시험을 통해 입증된 한 건 이상의 RCT - 근거수준 B-R: 1건 이상의 RCT에 근거한 중간 품질의 증거, 중.. 2021. 12. 17. ACLS) 프롤로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트레이닝을 마치고 독립한 지 얼마 안 된 신규 시절에는 사실 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다. 그러나 연차가 올라갈수록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간호사의 역량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신규 시절엔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내 주위에 선배 간호사들밖에 없었기 때문에 그 선생님들의 지시 하에 움직이면 되었지만 어느 순간 위급상황에서 내 주위에 후배 간호사들밖에 없는 상황이 점점 많아졌다. 그것은 이제 내가 그들을 이끌어야된다는 말이었다. 그동안 해왔던 임상 지식 공부, 그리고 경험으로 얻은 스킬들을 이용해 지금까지의 emergency에서는 어떻게든 대처를 해왔으나 좀 더 evidence based 차원의 공부를 해야겠다는 필.. 2021. 12. 1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