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중환자실 간호사4

대학 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데이(Day) 근무, 간접 체험해보기 중환자실에서 간호사들은 어떤 일을 할까요? 이번 글은 중환자실 간호사가 되고 싶어하는 간호학생 선생님들을 위한 글입니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되고 싶어도 학생 때 운이 나쁘면 중환자실로 임상 실습을 가보지 못하기도 하기 때문에 완전히 미지의 세계로 느껴질수도 있을텐데요. 여러분들은 오늘 아래의 글을 읽으며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데이 근무를 함께 해볼 겁니다. 데이 근무는 아침 6시까지 출근해야합니다. 병원과 걸어서 15분 거리에서 자취하고 있는 이 글의 주인공인 A 간호사는 아침 5시 15분 정도에 스마트폰 알람 소리를 듣고 깨어납니다. 마하의 속도로 준비를 마치고 부지런히 걸어서 병원에 도착하면 5시 55분 정도입니다. 유니폼으로 갈아입고 명찰을 목에 걸고 매직, 삼색 볼펜, 가위 등을 챙깁니다. .. 2023. 2. 19.
응급 상황 시 업무 분담, 리듬 판단 후 처치 신규 간호사 선생님이 일을 하며 가장 당황스러울 때가 바로 CPR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CPR 환자가 내 환자라면 담당간호사로서 어떻게 행동해야할까요? 다른 선생님의 환자라면 난 주변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할까요? 그리고 내가 만약 듀티 차지라면 CPR 상황에서 간호사들의 업무 분담을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cardiac arrest에서는 리듬 판단 후 처치도 중요한데요.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과 아닌 리듬이 있죠, 이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CPR시에 필요한 모든 처치를 나열해보겠습니다. 심정지 상황 발생 시 하위 목록들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합니다.(순서대로 진행 XXX) ① 심정지 발견시 도움 요청 -> 가슴압박 시작 : 100~120회/min, 약 5cm 깊이 ② ambu bagg.. 2022. 6. 21.
제 3편) PB 980 vent PSV 모드, 설정 & 모니터링 값 분석, EMR에 기록하기 for 신규 간호사 마지막인 제 3편에서는 Spont mode중 하나인 PSV 모드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3. SPONT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자발유형 자발 유형: PS(pressure support), TC(튜브 보상), VS(volume support), PAV+(proportional assist ventilation) 본원에서 자주 다루는 SPONT 모드 중 PSV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① PSUPP = pressure support(압력보조) : self 호흡 때 압력을 보조해 환자의 호흡을 도와줌 ② VSENS = trigger : pressure와 flow 중에 선택 가능(pressure trigger는 PSENS, flow trigger는 VSENS) ③ O2 = FiO2 ④ PEEP = 호기말 .. 2022. 6. 19.
ventilator)커프 새는 소리가 들리는 것 외에, tidal volume이 새는지 판단하는 방법(tidal graph) E-tube의 ballooning은 환자가 기침을 하거나 간호사가 suction을 시행함에따라 조금씩 빠질 수 있다. 그럼 cuff pressure가 낮아지고 결국엔 기도에 틈이 생기므로 인공호흡기가 넣어준 tidal volume이 다시 모두 호기 회로로 나오는 것이 아닌 ballooning이 빠진 그 틈으로 일부가 새어나가게 된다. 그럼 특징적으로 쉬익-쉬익-하는 새는 소리가 환자에게서 들리게 되고 이런 air leak 소리가 들리면 간호사들은 ballooning을 cuff pressure 압력계를 이용하여 다시 확인하고 적정 압력으로 조정한다. 그럼 더 이상 새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소리가 정확히 들리지 않더라도 우리는 인공호흡기의 그래프를 보면 tidal air leak가 있는지 없는지 .. 2021. 1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