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pr3

CPR Ventilator setting 작년에 ACLS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왜 우리 병원에서는 CPR 상황 시 인공 호흡은 ambu bagging으로만 하는 것인지 의문이 생긴 적이 있습니다. 6~7초에 한번, ambu의 1/3 정도(약 500ml) bagging하는 것도 인공호흡기의 mode를 volume control mode로 설정하고 setting을 f(frequency, 호흡수 세팅) 10회/min, TV(tidal volume) 4~500ml 정도로 맞춰 놓으면 vent에서는 모니터링까지 되기 때문에 사람이 하는 것보다 정확도 측면에서도, 인력 확보 면에서도 장점이 있지 않나 싶었기 때문입니다. 의문만 가지고 있는채로 답을 얻지는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ICU 전담 교수님께 질문을 드리고나서 이와 관련된 저널 하나를 소개해주셔서.. 2022. 7. 13.
응급 상황 시 업무 분담, 리듬 판단 후 처치 신규 간호사 선생님이 일을 하며 가장 당황스러울 때가 바로 CPR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CPR 환자가 내 환자라면 담당간호사로서 어떻게 행동해야할까요? 다른 선생님의 환자라면 난 주변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할까요? 그리고 내가 만약 듀티 차지라면 CPR 상황에서 간호사들의 업무 분담을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cardiac arrest에서는 리듬 판단 후 처치도 중요한데요.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과 아닌 리듬이 있죠, 이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CPR시에 필요한 모든 처치를 나열해보겠습니다. 심정지 상황 발생 시 하위 목록들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합니다.(순서대로 진행 XXX) ① 심정지 발견시 도움 요청 -> 가슴압박 시작 : 100~120회/min, 약 5cm 깊이 ② ambu bagg.. 2022. 6. 21.
ACLS) <5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오늘은 CPR 후 ROSC 되었을 때 그 이후 통합치료와 Arrest 상황 시 내가 담당 간호사라면 또는 주변 간호사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① ROSC 이후의 통합치료 ROSC가 되었다면 그 이후엔 초기 안정화단계이다. 우선 V/S이 안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엔 12 lead EKG를 찍고 ST elevation 등의 MI를 시사하는 징후가 있다면 인터벤션센터로 PCI를 하러 갈 수도 있을 것이다. cardiogenic shock이 너무 심하다면 ECMO도 시행된다. CPR 도중에 ECMO가 insertion 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mental이 회복되느냐 안되느냐이다. 명령에 따르느냐 아니냐는 결국 obey의 여부를 물어보는 것인데 obey가 되지 않을 경우 .. 2021. 1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