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 & 교육/퀴즈로 공부하기 for 신규 RN

Self test) 신규 간호사 교육 중 - ACLS에 대해 공부했다면 퀴즈를 풀어보자

by 검은 콩. 2022. 9. 21.
728x90
반응형

신규 간호사들을 교육할 때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은 교육 후에 스스로 공부(복습)해보라고 하고 후에 퀴즈를 풀어보게 하는 것입니다.

신규 간호사 본인이 제대로 내용을 숙지하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매우 확실한 교육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시험이라는 개념으로 다가가면 거부감이 생기고 부담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에 실제 교육 중에는 self test라고 명명하고 문제지와 해답지를 나눠준 뒤 스스로 채점하고 답을 읽어보게 하고 있습니다.

 

다른 병원의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아래에 제가 만든 문제와 답지를 공유합니다.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퀴즈이니만큼 심화보다는 기본을 다루고 반복 학습이 되게 문제를 구성하였습니다.


[ACLS Self test 문제] - AHA 2020 Guideline 내용을 기반으로 출제하였습니다.

 

2020 AHA ACLS guideline(Adult)

 

1. 다음 중 cardiac arrest 리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V-fib ② pVT ③ PSVT ④ PEA ⑤ Asystole

 

2. 다음 리듬 중 cardiac arrest인지 판별하기 위해서 pulse를 체크하지 않아도 되는 리듬을 보기 중 모두 고르면? (     )

① V-fib ② pVT ③ Asystole ④ PEA

 

3. 다음 cardiac arrest 리듬 중 defibrillation이 필요 없는 리듬을 모두 고르면? (        )

① V-fib ② pVT ③ Asystole ④ PEA

 

4. 판단되는 즉시 에피네프린을 ASAP(최대한으로 빨리)으로 줘야하는 심정지 리듬은 V-fib과 pVT이다.(O,  X)

 

5. CPR 도중 ETCO2를 모니터링했을 때 최소 10~20mmHg이상 체크되어야 효과적인 compression이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O, X)

 

6. CPR 상황에서 다음 중 compression을 중단해도 되는 상황은? (      )

① 제세동기의 EKG 패치를 환자에게 부착할 때

② 제세동기의 에너지를 charge할 때

③ 제세동 직후

④ 인공기도가 없는 환자에서 30:2의 비율에 맞춰 ambu bagging을 시행할 때

 

7.  shockable 리듬에서 biphasic 제세동기로 defibrillation을 시행할 때 몇 J을 충전하면 될까요?(      )

① 120~200J

② 200~300J

③ 무조건 200J

 

8. ROSC라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 3가지를 쓰시오.

(                                                                                                                                                                                       )

 


해석 & 정답)

 

1) 3번

cardiac arrest라고 하는 심정지에는 shockable rhytmn에 V-fib, pVT(pulseless VT)과 Non-shockable rhytmn에 PEA, Asystole이 있습니다.

 

2) 1번, 3번

EKG 모니터에서 V-fib과 asystole이 체크된다면 이 리듬들은 pulse를 체크하지 않아도 무조건 pulse가 없습니다. 그러나 VT은 pulse를 만져보고 pulse가 있는 VT인지 없는 VT인지 감별해야하며 PEA는 의미 그대로 EKG 모니터에 어떠한 전기적 리듬이 보이지만 pulse를 만져보면 없는 것이므로 pulse 확인을 필히 해야합니다.

 

3) 3, 4번

심정지 리듬 중에서 asystole과 PEA는 non-shockable 리듬으로 제세동이 필요없습니다.

shockable 리듬엔 V-fib과 pVT가 속합니다.

 

4) X

에피네프린은 심정지의 어느 리듬에서나 투약 될 수 있지만 권고되고 있는 투여 시기가 다릅니다.

Non-shockable rhytmn(PEA, Asystole)은 ASAP으로 에피네프린 투약이 권고되지만 Shockable rhytmn인 V-fib 과 pVT는 심실성 부정맥인만큼 더 확실한 치료인 제세동(Defibrillation)이 우선되며 첫번째 제세동이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면 그 다음 에피네프린의 투약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5) O

ACLS에서 ETCO2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우선 ACLS에서는 Advanced airway의 확보를 위해서 endotracheal intubation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ETCO2를 모니터링 함으로인해 E-tube가 식도로 들어갔는지 기도로 들어갔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ETCO2는 호기말에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재는 것이니만큼 만약 식도로 들어가면 한두번은 웨이브가 나올지 몰라도 이내 사라집니다. 기도로 제대로 E-tube가 위치되어야 ETCO2 웨이브가 유지됩니다.

 

두번째 의미는 ETCO2로 CPR 중 compression의 quality를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은 몸 속에서 순환이 일어나서 피가 돌아야 대사작용도 일어나는데 심장이 멈춘 상태에서는 이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CO2의 생성, 배출도 되지 않습니다. 만약 심정지가 난 환자한테 아무것도 해주지 않고 ETCO2를 측정하면 수치가 매우 낮아 제대로 측정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때 흉부압박을 외부에서 해주면 인위적으로라도 누르는 힘에 의해 cardiac output이 생성되고 순환과 대사작용이 돌아갈 것입니다. 그럼 ETCO2 모니터에 웨이브가 생기며 숫자가 생깁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최소 10~20mmHg이상으로는 값이 유지되게 compression에 신경을 쓰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6) 4번

CPR 중 compression의 중단은 최소화되어야합니다. 보기 중에서 Compression을 중단해도 되는 상황은 인공기도가 없는 사람을 30:2의 비율로 인공호흡 중인 상황입니다. 반대로 인공기도가 있는 사람(intubation 등)은 compression과 상관없이 분당 10회 정도로 인공호흡을 실시하죠? 인공기도가 없을 때와 있을 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인공기도가 없는 사람은 인공호흡을 할 때 흉곽이 올라와서 정말 숨이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지 눈으로 확인해야하기 때문입니다. E-tube가 삽관되어 있는 사람은 trachea에 제대로 들어가있으면 당연히 제대로 인공호흡이 될테니 compression과 상관없이 인공호흡을 제공해도 되는 것입니다.

 

7) 1번

가이드라인에서는 kg당 2J을 Charge하여 shock을 시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일반적으로 60kg라면 120J이라고 계산되겠네요. 그리고 만약 잘 모르겠으면 200J로 시행하면 되는 것입니다. 무조건 200J 시행은 정답이 아닙니다.

 

8) Pulse and blood pressure, ETCO2가 40이상으로 갑자기 치솟아서 유지됨, ABP wave가 생김

이 셋 모두 심장이 스스로 뛰기 시작해야 일어날 수 있는 일이므로 ROSC(자발적 순환회복)의 증거가 됩니다.


ACLS self test quiz는 여기까지였습니다.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이 ACLS에 대해 익숙해지는데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