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중환자실4

ICU 신규 간호사 트레이닝 필수 교육 리스트 대학병원 중환자실의 신규 간호사 트레이닝 기간은 짧으면 6주, 길면 8주 정도입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이 기간 속에서 프리셉터는 신규 간호사를 1인분의 몫을 하는 간호사로 만들기 위해서 고군분투하게 됩니다. 시간은 흐르고 독립이 다가올수록 프리셉터는 내가 다 가르친 게 맞나, 프리셉티는 내가 다 배운게 맞나. 필수 교육 목록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없다면 계속해서 이를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어떤 업무를 할 줄 알아야할까? 간호 학생이나 웨이팅 중인 예비 ICU 간호사들은 이에 대해 미리 알기가 쉽지 않죠. 이번 포스팅에는 ICU 신규 간호사를 트레이닝 할 때 필수로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해 리스트업 해볼 예정입니다. 트레이닝을 처음 해보는 프리셉터라면 이 리스트를 참고하여 교육을.. 2022. 7. 4.
제 1편) PB 980 vent ACMV 모드, 설정 & 모니터링 값 분석, EMR에 기록하기 for 신규 간호사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가 인공호흡기를 공부할 때 처음에 가장 헷갈리는 점은 뭘까요? mode가 변경되었을 때 각각 mode마다 필요한 세팅 값이 달라지는데 ACMV mode에서 필요한 세팅 값은 뭔지, SIMV, PSV mode마다 필요한 세팅 값이 뭔지 구분하는 것입니다. ACMV mode에서는 pressure support 값이 필요할까요? 필요 없을까요? PSV mode에서는 tidal volume 세팅값이 필요할까요? 필요 없을까요? ACMV-PCV 에서 PSV로 모드가 변경되었을 때 EMR에 어떤 세팅 값을 추가하고 어떤 세팅 값은 지우면 될까요? 오늘 정리 글을 충분히 공부한다면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않을겁니다. [본 포스팅에서 기준으로 하는 인공호흡기는 PB 980 vent입니다.] 제 1편.. 2022. 6. 19.
ACLS) <4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이제부터는 ACLS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가슴압박, 인공호흡, 심장리듬분석 + 제세동, 약물 투약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한다. ① 가슴압박(compression) Chest compression can help restore blood flow to the brain, heart and other vital organs :가슴 공간의 압력변화로 cardiac output이 발생한다. 뇌, 심장, 주요 장기로 혈류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가이드라인에서 말한 대로 정확히 가슴압박을 하더라도 정상 cardiac output과 비교했을 때 1/4 ~1/3 밖에 되지 못한다고 한다. 산소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혈류가 감소되면 산소공급도 원활하지 않다. 그러면 호기성 대사가 충분히 일.. 2021. 12. 17.
ACLS) <1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는 몇 년마다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왜 몇 년마다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업데이트하는 걸까? 결국엔 evidece based, 즉 모든 것은 근거기반의 recommendation을 위한 것이다. 근거에 대한 level을 평가하기 위해 권고등급과 근거 수준이라는 개념이 있다. * 권고등급: 권고등급이 올라갈수록 환자에게 위해보다 이점이 더 커진다. (ex, 권고등급 1등급: 이점>>>위해) * 근거수준 ex) - 근거 수준 A: 1건이 넘는 RCT에 근거한 고품질의 증거,고품질의 RCT에 대한 메타분석, 고품질의 등록 시험을 통해 입증된 한 건 이상의 RCT - 근거수준 B-R: 1건 이상의 RCT에 근거한 중간 품질의 증거, 중.. 2021. 1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