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임상 & 교육/임상37

septic shock 오늘의 포스팅은 sepsis, septic shock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Septic shock은 흔한 ICU admission indication이기 때문에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질환입니다. 본원에 신속 대응팀이 새로 구성되었을 때 신속 대응팀을 위해 만들었던 septic shock 강의 자료가 있는데 저도 리마인드 해볼 겸 포스팅하며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순서는, 1. sepsis & septic shock의 정의 2. sepsis, septic shock의 병태생리 3. 합병증 4. qSOFA, SOFA score 5. Surviving Sepsis Campaign 2021 - 패혈증 치료 가이드라인 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1. sepsis & septic .. 2023. 3. 1.
약물 용량 계산 방법(gtt/min, mcgtt/min, mcg/kg/min 공식 외우지 않고 계산하기) 오늘의 포스팅은, 지겹다면 지겹고 새롭다면 늘 새롭게 느껴지는! 간호사라면 학부생 때부터 배우게 되는 약물 용량 계산 방법입니다. 실제 임상에서도 틈만 나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약물 용량 계산이죠? 임상에서는 ' gtt/min' 처방이 났을 때 몇 초에 한 방울로 수액세트 클램프를 조절하면 되는지, 인퓨전 펌프를 사용하는 약물을 mcg/kg/min, mg/kg/hr, mg/hr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처방이 났을 때 결국 몇 ml/hr로 주입되는지 계산하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저도 원래는 공식을 그냥 외워서 계산을 하는 방식을 사용해왔었는데 몇 달 전에 동료 간호사 선생님께서 추천해 주신 방식이 있는데 공식을 외울 필요도 없고 어디에나 사용 가능한 편리한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포스팅을 해보기로 하였.. 2023. 2. 24.
GCS(Glasgow coma scale) 영문 자료 해석하기 오늘은 GCS 영문 자료를 보며 한국어로 해석해서 공부해 보는 포스팅을 해볼 것입니다. 요새 GCS에 대해서 혼자 공부해 보는 중인데 영문판 자료만 너무 많아서 한글 해석본도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영어 공부도 할 겸... toddler level이긴 해도...ㅎㅎ 직접 해석해 볼 생각입니다. 오늘의 영문 자료는 TSSF(Teritary Sisters of Saint Francis)의 응급, 중환자 의학 가이드라인 PDF 원문에서 17page의 GCS 파트입니다. GUIDELINES FOR MEDICAL EMERGENCIES AND CARE OF CRITICALLY ILL PATIENTS November 2018 Publisher: Tertiary Sisters of Saint Fr.. 2023. 2. 19.
ICU 신규 간호사 트레이닝 필수 교육 리스트 대학병원 중환자실의 신규 간호사 트레이닝 기간은 짧으면 6주, 길면 8주 정도입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이 기간 속에서 프리셉터는 신규 간호사를 1인분의 몫을 하는 간호사로 만들기 위해서 고군분투하게 됩니다. 시간은 흐르고 독립이 다가올수록 프리셉터는 내가 다 가르친 게 맞나, 프리셉티는 내가 다 배운게 맞나. 필수 교육 목록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없다면 계속해서 이를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어떤 업무를 할 줄 알아야할까? 간호 학생이나 웨이팅 중인 예비 ICU 간호사들은 이에 대해 미리 알기가 쉽지 않죠. 이번 포스팅에는 ICU 신규 간호사를 트레이닝 할 때 필수로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해 리스트업 해볼 예정입니다. 트레이닝을 처음 해보는 프리셉터라면 이 리스트를 참고하여 교육을.. 2022. 7. 4.
응급 상황 시 업무 분담, 리듬 판단 후 처치 신규 간호사 선생님이 일을 하며 가장 당황스러울 때가 바로 CPR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CPR 환자가 내 환자라면 담당간호사로서 어떻게 행동해야할까요? 다른 선생님의 환자라면 난 주변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할까요? 그리고 내가 만약 듀티 차지라면 CPR 상황에서 간호사들의 업무 분담을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cardiac arrest에서는 리듬 판단 후 처치도 중요한데요.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과 아닌 리듬이 있죠, 이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우선 CPR시에 필요한 모든 처치를 나열해보겠습니다. 심정지 상황 발생 시 하위 목록들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합니다.(순서대로 진행 XXX) ① 심정지 발견시 도움 요청 -> 가슴압박 시작 : 100~120회/min, 약 5cm 깊이 ② ambu bagg.. 2022. 6. 21.
시낙텐 검사) ACTH stimulation test 시낙텐 검사, 왜 하는 걸까요? 시낙텐주라고 네이버에 검색해보면 약의 효능, 효과에 "부신피질 기능부전의 진단"이라고 쓰여있습니다. 시낙텐주사를 투약하면 환자가 부신피질 기능부전(adrenal insufficiency)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시낙텐의 성분명은 테트라코삭트린 0.25mg(250 mcg)으로 합성 ACTH입니다. 시낙텐 검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의 내분비계 시스템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나 뇌하수체와 부신이 각각 어떤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야겠죠. 부신은 adrenal gland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신장(kideney) 위에 붙어있습니다. renal(신장) 위에 덧(add) 붙여 올라가 있어서 adrenal이라고 외우면 쉬울.. 2022. 1. 28.
COPD와 nebulizer 약물의 종류(벤토린, 아트로벤트, 뮤코미스트, 풀미코트 등) 오늘은 COPD라는 질병과 COPD에 사용하는 nebulizer 약물에 대해 공부하며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우선 COPD에 대해서 알아본 후에 어떤 약물들이 사용되는지 보겠습니다. COPD에 대해서 알아보자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 정상적인 염증반응과 비가역적으로 점차 진행하는 기류 제한(airway obstruction)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보통 COPD는 만성 기관지염 &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 폐기종은 COPD. 이렇게 서로 지칭하는 개념이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만성 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실질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비가역적인 기류 제한이 생기는 병.. 2022. 1. 23.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2편) Epilepsy 포스팅 1편을 안 보고 오신 분은 보고 와주시길 바랍니다.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1편)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1편) 프리셉터: "seizure 공부해와요😎" 프리셉티: "네...🤣"(속마음: 그게 뭔데...어떻게 하는건데!) 라고 속으로 외치고 있을 전국의 신규 간호사인 프리셉티 쌤들을 위해서 작성하는 글. 참고로 프리 tulipblog.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뇌전증에서 사용하는 항경련제(AED)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우선, 약물의 선택은 경련발작이 전신성이냐 부분성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약물의 작용기전으로는 이온 경로, GABA 상승 작용, 흥분성 아미노산 전달 억제 등.. 2022. 1.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