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 & 교육/임상

ACLS) <5편> 전문 심폐 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by 검은 콩. 2021. 12. 17.
728x90
반응형

오늘은 CPR 후 ROSC 되었을 때 그 이후 통합치료와 Arrest 상황 시 내가 담당 간호사라면 또는 주변 간호사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① ROSC 이후의 통합치료

2020 AHA ACLS 가이드라인

ROSC가 되었다면 그 이후엔 초기 안정화단계이다. 우선 V/S이 안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엔 12 lead EKG를 찍고 ST elevation 등의 MI를 시사하는 징후가 있다면 인터벤션센터로 PCI를 하러 갈 수도 있을 것이다. cardiogenic shock이 너무 심하다면 ECMO도 시행된다. CPR 도중에 ECMO가 insertion 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mental이 회복되느냐 안되느냐이다. 명령에 따르느냐 아니냐는 결국 obey의 여부를 물어보는 것인데 obey가 되지 않을 경우 의식이 회복되지 않는 것이므로 빠른 TTM(목표체온 유지치료)을 시행한다.

 

TTM(목표 체온 유지 치료)

초기 리듬에 상관없이 ROSC된 환자 중 의식회복되지 않는 환자에게 32~36℃ 사이의 체온을 목표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표체온유지치료를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TTM의 뇌 보호 원리뇌 대사율 감소, 뇌를 손상시키는 자유산 화기(free radicals) 감소, 흥분성 아미노산 등을 저시킨다.

이들은 ROSC 직후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빠른 TTM 유도를 시작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EEG 모니터링

뇌파검사를 하는 이유는 TTM 시행 중에  shivering이 발생하면 저체온을 유지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 위해 sedative 및 근이완제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되면 환자의 epileptic seizure 여부를 겉으로 보기에는 확인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지속 뇌파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필요하면 항경련제를 사용한다.)

 

BST f/u 및 continuous insulin start

저체온시에는 인슐린의 effect가 떨어지므로 혈당 조절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BST를 주기적으로 f/u하고 혈당 조절이 안될 경우에는 노보래피드 100 unit + 0.9% 생리식염수 100ml를 mix 하여 infusion으로 주입한다.

 

② 내가 arrest 상황에서 담당간호사라면, 주변 간호사라면?

1) 내가 담당간호사라면: 보통 간호기록 & 투약된 약물, 실시한 lab 처방 확인 & EMR 정리 등을 맡게 된다.

간호기록의 예시

투약 처방이 나면 투약 acting check, 사용한 물품, CPR 사용에 대한 cost 처방, CPR 기록지의 작성이 필요하고환자가 ROSC 되었다면 ROSC 이후 통합치료 간호가 시행되며 expire 한 경우에는 사망 간호, 보호자 응대, 사망 퇴원이 진행될 것이다.

 

2) 내가 주변 간호사라면? 담당간호사가 차팅에 집중할 수 있게 주변 간호사는 보통 액팅을 해준다.

* CPR 발견 시 도움요청,  compression & ambu bagging(O2 full)
* 전공의 호출, 인턴 호출 or  CPR 방송, 보호자 호출
* E- cart 준비, 제세동기 monitoring 부착, 제세동시 assist
* intubation 준비 & assist, hard board & CPR 발판 준비
* peripheral IV line 확보, 약물투약(Epi 등), C-line 준비
* 담당간호사의 나머지 환자들 V/S 및 처치 챙기기
* CPR 환자에 많은 인력이 투입-> 나머지 환자들 V/S, 처치 챙기기

사실 신규간호사에게는 마지막 두 줄만 해줘도 병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rrest가 발생하면 그 환자에게 많은 인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나머지 환자들에 대한 처치가 밀리기 시작한다. 그래서 그 환자들의 1시간 바이탈이라도 한번 챙겨주면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고 그 외의 위 박스에 써져있는 내용 중 시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 있다면 그 부분을 해주면 되는 것이다.

 

자 이로써 기나 긴 ACLS 관련 포스팅이 끝났다.

ACLS 가이드라인은 몇년마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아마 곧 여기에 포스팅 된 내용도 옛날 지식이 될 수도 있겠다.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나온다면 또 새로운 포스팅으로 돌아오게 될 것 같다.

 

- 전문심폐소생술, 중환자실 간호사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포스팅 끝 -

 

"이 카테고리에 게재되는 글은 간호사로서 일하며 궁금했던 것, 알게 된 것을 저 나름대로 정리해본 것에 불과합니다. 추측성인 글들이 대부분이며 내용에 대한 신빙성 또한 보장할 수 없으니 참고 바랍니다. 잘못된 점이나 가르쳐주실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히 읽겠습니다."

 

 

* Reference
▶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0). 심폐소생술 및 응급 심혈관 지침 가이드라인
▶ 대한심폐소생협회. (2020). 2020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 순천향대학교 응급의학교실 . (2017).  반드시 숙지해야 할 심폐소생술 A  to Z
▶ Gu W, Li CS. Ventilation strategies dur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problem that should not be neglected. J Emerg Crit Care Med 2017;1:23.
▶ Susan Jeffrey, Hyperventilation during CPR may be deadly, Medscape, April 05, 2004
▶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 Guidelines 2000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Part 6: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 section 6: pharmacology II: agents to optimize cardiac output and blood pressure. Circulation. 2000;102(suppl):l1290l135.
▶  천의마신(경북대학교 마취통증의학과 정훈 교수님). (2020. 10. 18). [심폐소생술] 전문심장소생술 - 리더 1인칭 시점 [CPR] ACLS[비디오파일]. 검색경로 https://www.youtube.com/watch?v=-98N9BlRrL8
▶  두근두근 생명지킴이. (2021. 5. 25). 심폐소생술 심화교육과정
▶  구급대원 업무범위 확대 특별교육과정 교육자료(Spivack DE, Kelly P, Gaughan JP, van Bemmelen PS. Mapping of Superficial Extremity Veins: Normal Diameters and Trends in a Vascular Patient-Population. Ultrasound in medicine & biology. 2012;38(2):190-194)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