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임상 & 교육/간호 임상 공부40 시낙텐 검사) ACTH stimulation test 시낙텐 검사, 왜 하는 걸까요? 시낙텐주라고 네이버에 검색해보면 약의 효능, 효과에 "부신피질 기능부전의 진단"이라고 쓰여있습니다. 시낙텐주사를 투약하면 환자가 부신피질 기능부전(adrenal insufficiency)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시낙텐의 성분명은 테트라코삭트린 0.25mg(250 mcg)으로 합성 ACTH입니다. 시낙텐 검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의 내분비계 시스템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나 뇌하수체와 부신이 각각 어떤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야겠죠. 부신은 adrenal gland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신장(kideney) 위에 붙어있습니다. renal(신장) 위에 덧(add) 붙여 올라가 있어서 adrenal이라고 외우면 쉬울.. 2022. 1. 28. COPD와 nebulizer 약물의 종류(벤토린, 아트로벤트, 뮤코미스트, 풀미코트 등) 오늘은 COPD라는 질병과 COPD에 사용하는 nebulizer 약물에 대해 공부하며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우선 COPD에 대해서 알아본 후에 어떤 약물들이 사용되는지 보겠습니다. COPD에 대해서 알아보자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 정상적인 염증반응과 비가역적으로 점차 진행하는 기류 제한(airway obstruction)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보통 COPD는 만성 기관지염 &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 폐기종은 COPD. 이렇게 서로 지칭하는 개념이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만성 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실질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비가역적인 기류 제한이 생기는 병.. 2022. 1. 23.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2편) Epilepsy 포스팅 1편을 안 보고 오신 분은 보고 와주시길 바랍니다.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1편)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1편) 프리셉터: "seizure 공부해와요😎" 프리셉티: "네...🤣"(속마음: 그게 뭔데...어떻게 하는건데!) 라고 속으로 외치고 있을 전국의 신규 간호사인 프리셉티 쌤들을 위해서 작성하는 글. 참고로 프리 tulipblog.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뇌전증에서 사용하는 항경련제(AED)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우선, 약물의 선택은 경련발작이 전신성이냐 부분성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약물의 작용기전으로는 이온 경로, GABA 상승 작용, 흥분성 아미노산 전달 억제 등.. 2022. 1. 14. Epilepsy) 뇌전증 정의, 분류, 항경련제(AED)의 종류(1편) 프리셉터: "seizure 공부해와요😎" 프리셉티: "네...🤣"(속마음: 그게 뭔데... 어떻게 하는 건데!) 라고 속으로 외치고 있을 전국의 신규 간호사인 프리셉티 선생님들을 위해서 작성하는 글. 참고로 현재 트레이닝 중인 프리셉터로서 제 자신을 위해 다시 한번 개념 정리를 하려고 쓰는 목적도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seizure는 결국 발작이라는 뜻이죠? 그중 epileptic seizure는 뇌전증 발작, epilepsy는 뇌전증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간질 발작, 또는 간질이라고 불렸지만 부정적인 어감으로 인해 epilepsy 환자들이 사회에서 겪는 차별을 막기 위해 뇌전증으로 용어가 변경되었습니다. 여기서 뇌전증 발작(epileptic seizure)이란 결국 뇌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전.. 2022. 1. 14. 항구토제) 맥페란, 알록시, 나제아(나제론)의 작용 기전 오늘 포스팅할 주제는 "항구토제"이다. SICU는 특히나 수술 동안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으로인해 구역, 구토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맥페란, 알록시, 나제아(나제론) 등의 항구토제 종류 약물은 매우 자주 사용되는 편이다. 그리고 MICU도 환자가 vomiting을 했거나, 위장관 운동 기능이 떨어져있을 때 맥페란을 하루에 q8hr 간격으로 투약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렇게 자주 쓰는 약인 맥페란... 작용 기전이 무엇인지 찾아본 적이 있는 사람은 은근히 드물지도 모른다. 맥페란 anti dopa잖아? 라고 하면 맥페란이 도파민을 차단하는 작용이라고? 하고 놀라는 반응일 때가 많다. 맥페란을 드러그 인포에 검색해보자. 맥페란주 2ml(염산페토클로프라미드) 2ml에 metoclopramide H.. 2022. 1. 2. 호흡 부전) Respiratory failure의 종류(type 1~4까지) 선배 간호사: 이후 선배 RN으로 통칭 후배 신규 간호사: 이후 후배 RN으로 통칭 후배 RN: respiratory failure 진단받은 PU 김 OO 님 인계드리겠습니다. 이 환자는... 선배 RN: 선생님, 호흡부전에도 type이 나눠져있는데 이 사람은 type 몇이에요? 후배 RN: (동공지진을 일으키며, 인계 종이를 뒤지다가) 아...! type 2라고 쓰여있습니다! 선배 RN: type 2는 뭔데요? 입실 시 ABGA 결과 봤어요? 후배 RN: 음.... 😨 선배 RN: 선생님, MICU엔 respiratory failure로 오는 환자들이 정말 많잖아요, 자주 볼 수 있는 진단명인데 공부해야죠. 다음에 확인할 거니까 꼭 공부해오세요. 후배 RN: 네..! 후배 RN은 퇴근 후 집으로 돌아가.. 2022. 1. 1. ICU SAPS score란 무엇인가? ER을 통해서, 또는 원래 병동에 있던 환자가 상태가 안 좋아져서 ICU indication이 되면 본원 ICU에 입실하게 된다. ICU에 환자가 처음 왔을 때 담당의들은 SAPS lab이라는 처방을 내고 환자를 평가 후 SAPS score를 입력한다. 본원 SAPS lab set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은 ABGA, CBC(ETDA bottle), total bilirubin(SST bottle), STAT(SST bottle)이다. (바코드를 뽑으면 ABGA 1장, ETDA 1장, SST 1장이 나옴)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SAPS lab 처방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담당의가 처방 내지 않으면 SAPS lab 좀 내달라고 노티 하기도 한다. 그런데 SAPS란 무엇일까? 혹시 SAPS가 뭔지 잘 모르면서 으레 .. 2021. 12. 31. pupil size & light reflex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ICU에서 일하다 보면 내과 환자는 최소 4시간마다, 가끔 NS(신경외과), NU(신경과) 환자들을 보게 될 때면, 최소 1시간마다 neurologic assessment를 시행하며 변화가 있을 경우 담당의에게 노티 하게 되는데, 그중에서는 pupil의 사정도 빼놓을 수 없다. 이론대로 pupil이 isocoric 한 지, 크기, 모양, light reflex, direct & indirect 반응은 어떤지 확인을 하곤 하지만... 내과 간호사인 나에게 신규 시절부터 뇌신경학에 대한 지식은 참 양이 방대하고 특히나 공부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느껴졌다. 게다가 내과 환자들은 vent care 중이라면 대부분 sedative를 지속 주입하고 있는데 약물의 주입으로 인해서도 pupil size나 light r.. 2021. 12. 30.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